국내 상장 나스닥100 ETF 8종 수수료 및 수익률 비교

국내에서 상장된 미국 나스닥 100 지수를 추종하는 ETF는 최근 몇 년간 많은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특히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100 지수는 과거 40년간 연평균 13.7%의 수익률을 기록하며 투자자들에게 매력적인 선택지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많은 분들이 개인연금저축, IRP, DC형 퇴직연금, ISA 등의 절세 계좌를 통해 이들 ETF에 투자하고자 합니다. 본 글에서는 국내 상장된 나스닥 100 ETF 8종의 수수료 및 수익률을 비교 분석하겠습니다.

썸네일

나스닥 100 지수의 특징 및 투자 이유

나스닥 100(NASDAQ 100) 지수는 나스닥 시장에 상장된 비금융 업종의 상위 100개 기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985년에 설정되었습니다. 이 지수는 미국 내 대부분의 기술 기업들이 포함되어 있어, 기술 혁신과 성장 가능성을 함께 담고 있습니다.

최근 몇 년간의 시장 상황을 보았을 때, 나스닥 100 지수는 지속적인 성장을 보여주었고, 이는 많은 투자자들에게 안정적인 투자처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나스닥 100 지수를 추종하는 ETF에 투자하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첫째, 미국 주식 시장의 성과를 효과적으로 추종할 수 있습니다. 둘째, 기술주 중심의 포트폴리오를 통해 높은 성장 잠재력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셋째, 과거 40년간의 데이터에 따르면, 나스닥 100 지수는 단 7년만 마이너스 수익을 기록했으며, 나머지 33년은 모두 플러스 수익을 올렸습니다. 이는 나스닥 100 ETF가 안정적인 수익을 추구하는 투자자에게 적합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지수명 연평균 수익률 마이너스 수익 기록 연도
나스닥 100 13.7% 7회

국내 상장 나스닥 100 ETF 목록

국내 상장된 나스닥 100 ETF는 총 8종으로 다음과 같습니다. 이들 ETF는 각각 다른 운용사에서 관리되고 있으며, 수수료와 수익률에서 차이를 보입니다.

각 ETF의 기본 정보와 수수료를 비교하여 투자자들이 최적의 선택을 할 수 있도록 도와드리겠습니다.

ETF명 운용사 상장일 실질 부담 비용 (%) 자산총액 (억원)
TIGER 미국나스닥100 ETF 미래에셋자산운용 2010-10-15 0.2046 36,261
KODEX 미국나스닥100 ETF 삼성자산운용 2020-05-15 0.1852 18,000
KODEX 미국나스닥100(H) ETF 삼성자산운용 2021-03-15 0.3404 13,000
ACE 미국나스닥100 ETF KB자산운용 2020-04-15 0.2051 11,000
SOL 미국나스닥100 ETF 신한자산운용 2024-03-01 0.1188 1,500
RISE 미국나스닥100 ETF KB자산운용 2022-07-15 0.1705 2,000
KBSTAR 미국나스닥100 ETF KB자산운용 2021-06-01 0.2500 1,000
KOSEF 미국나스닥100(H) ETF KIWOOM 2020-05-01 0.3404 800

다른 내용도 보러가기 #1

수수료 비교

수수료는 투자자가 ETF를 선택할 때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실질 부담 비용이 낮을수록 장기적인 투자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국내 상장 나스닥 100 ETF 중에서는 KODEX 미국나스닥100 ETF와 RISE 미국나스닥100 ETF가 상대적으로 낮은 수수료를 가지고 있어 투자자들에게 유리한 조건을 제공합니다. 예를 들어, SOL 미국나스닥100 ETF는 2024년 3월에 상장된 이후 실질 부담 비용이 0.1188%로 가장 낮았으며, 이는 국내 상장 나스닥 100 ETF 중에서 큰 장점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다른 ETF들은 시간이 지나면서 수수료가 변경될 수 있으므로, 투자 시점에 다시 한번 확인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ETF명 실질 부담 비용 (%) 수수료의 주요 특징
TIGER 미국나스닥100 ETF 0.2046 자산총액이 크고 안정적
KODEX 미국나스닥100 ETF 0.1852 낮은 수수료와 높은 거래량
KODEX 미국나스닥100(H) ETF 0.3404 환헤지형으로 수수료 상대적으로 높음
ACE 미국나스닥100 ETF 0.2051 안정적인 선택지
SOL 미국나스닥100 ETF 0.1188 가장 낮은 수수료
RISE 미국나스닥100 ETF 0.1705 안정성과 낮은 수수료의 조화
KBSTAR 미국나스닥100 ETF 0.2500 안정적인 성과
KOSEF 미국나스닥100(H) ETF 0.3404 환헤지형으로 수수료 상대적으로 높음

수익률 비교

수익률은 투자 성과를 가늠하는 또 다른 중요한 지표입니다. 나스닥 100 지수를 추종하는 ETF의 수익률은 수수료 외에도 각 ETF의 분배금 지급 여부, 환 헤지 여부, 그리고 기타 요소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최근 1년간의 수익률을 비교해보면, KODEX 미국나스닥100 ETF와 RISE 미국나스닥100 ETF가 상대적으로 높은 성과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특히 KODEX 미국나스닥100 ETF는 실질 부담 비용이 낮아 수익률에서 유리한 위치에 있습니다.

반면, 환헤지형 ETF인 KODEX 미국나스닥100(H) ETF는 상대적으로 낮은 수익률을 보였습니다. 이는 환헤지 비용이 추가되기 때문입니다.

ETF명 1년 수익률 (%) 환 헤지 여부 분배금 지급 여부
TIGER 미국나스닥100 ETF 36.5 비환헤지 지급 안함
KODEX 미국나스닥100 ETF 36.8 비환헤지 지급 안함
KODEX 미국나스닥100(H) ETF 22.0 환헤지 지급 안함
ACE 미국나스닥100 ETF 35.0 비환헤지 지급 안함
SOL 미국나스닥100 ETF 15.0 비환헤지 지급 안함
RISE 미국나스닥100 ETF 36.5 비환헤지 지급 안함
KBSTAR 미국나스닥100 ETF 34.0 비환헤지 지급 안함
KOSEF 미국나스닥100(H) ETF 21.0 환헤지 지급 안함

결론 및 추천

국내 상장 나스닥 100 ETF 8종을 비교해본 결과, 각 ETF는 수수료와 수익률 측면에서 각각의 장단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투자자들은 자신의 투자 성향과 목표에 따라 적합한 ETF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장기적인 투자 관점에서는 수수료가 낮고 안정적인 수익률을 제공하는 KODEX 미국나스닥100 ETF가 우수한 선택지로 고려될 수 있습니다. 또한, 환헤지형 ETF를 고려하는 투자자는 KODEX 미국나스닥100(H) ETF를 선택할 수 있으나, 수수료와 수익률을 신중하게 비교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각 투자자는 개별적인 상황과 목표에 따라 ETF를 선택하여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수익을 목표로 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ETF 투자는 변동성이 있는 자산이므로, 항상 자신이 투자하는 상품에 대한 정보를 충분히 파악하고, 시장 변동성에 대비한 전략을 세우는 것이 필요합니다.

관련 영상

같이 보면 좋은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