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 기획에서 ‘역 기획서’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문서입니다. 이는 이미 출시된 게임을 분석하고 그 구조를 세밀하게 파악하여, 자신의 게임 기획에 적용할 수 있는 유용한 정보를 추출하는 과정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역 기획서의 정의, 작성 방법, 고려해야 할 요소들, 그리고 여러 게임 요소 분석을 통해 어떻게 효율적으로 역 기획서를 작성할 수 있는지를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역 기획서의 정의와 필요성
역 기획서는 이미 상용화된 게임의 기획서를 거꾸로 분석하는 방식으로, 게임의 구조와 디자인을 깊이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을 줍니다. 이를 통해 개발자는 자신이 만들고자 하는 게임의 방향성을 잡고, 필요한 요소들을 체계적으로 정리할 수 있습니다.
역 기획서를 작성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것은 단순히 게임의 콘텐츠를 나열하는 것이 아니라, 그 게임이 왜 성공했는지, 어떤 시스템이 효과적이었는지를 분석하는 것입니다. 역 기획서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이유로 필요합니다.
- 시장 이해: 현재 시장에서 어떤 게임이 성공하고 있는지 분석하게 되므로, 트렌드와 사용자 요구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 구조적 분석: 게임의 시스템과 디자인 요소를 이해하여, 자신의 게임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을지를 고민해볼 수 있습니다.
- 자기 개발: 기획서를 통해 자신이 부족한 부분이나 이해가 필요한 부분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항목 | 설명 |
---|---|
정의 | 상용 게임의 기획서를 분석하여 자신의 기획서 작성에 활용하는 것 |
필요성 | 시장 이해, 구조적 분석, 자기 개발을 위한 중요한 도구 |
목표 | 성공적인 게임 요소를 파악하고 자신의 게임에 적용하기 위함 |
역 기획서 작성 시 고려해야 할 요소
역 기획서를 작성하기 전, 몇 가지 유의사항이 있습니다. 처음 역 기획서를 작성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조건을 고려하는 것이 좋습니다.
- 게임 선택: 자신이 잘 알고 있는 게임을 선택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너무 복잡한 게임은 피하고, 자신이 관심을 가지거나 비슷한 장르의 게임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 정보 접근성: 게임에 대한 정보를 쉽게 구할 수 있는지를 체크해야 합니다. 너무 많은 정보가 없거나 분석하기 어려운 게임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 복잡성: 처음에는 시스템이 복잡한 AAA 게임보다는, 간단한 인디 게임이나 중소 개발사의 게임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선택 기준 | 설명 |
---|---|
게임 선택 | 자신이 잘 아는 게임을 선택 |
정보 접근성 | 정보를 쉽게 구할 수 있는 게임을 선택 |
복잡성 | 시스템이 간단한 게임을 선택 |
역 기획서 작성 방법
역 기획서를 작성할 때는 다음과 같은 단계에 따라 진행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
게임 개요 작성: 게임의 이름, 장르, 목표 등에 대한 간단한 개요를 작성합니다. 이 부분은 전체 문서의 분량을 감안하여 생략할 수도 있습니다.
-
시스템 개요 작성: 작성하고자 하는 시스템이 어떤 것인지 설명합니다. 이 시스템이 전체 게임에서 맡고 있는 역할과 동작 방식, 해당 시스템이 동일 장르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 등을 언급합니다.
-
시스템 특징 설명: 해당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조와 작동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며, 필요에 따라 여러 카테고리로 구분하여 설명하는 것이 좋습니다.
-
UI 분석: UI 시스템을 분석할 때는 단계별로 사진을 활용하여 시각적으로 이해하기 쉽게 설명합니다.
-
순서도/흐름도 작성: 해당 시스템이 어떤 흐름으로 동작하는지를 플로우 차트로 설명합니다.
-
목차 작성: 목차는 문서의 초반부에 최대한 상세하고 알아보기 쉽게 작성하여 독자가 내용을 쉽게 찾아볼 수 있도록 합니다.
단계 | 설명 |
---|---|
게임 개요 | 게임의 이름, 장르, 목표 등을 간략히 작성 |
시스템 개요 | 시스템의 역할, 동작 방식 등을 설명 |
시스템 특징 | 구조와 작동 방법을 상세히 설명 |
UI 분석 | 단계별 사진을 활용하여 UI를 시각적으로 분석 |
순서도 작성 | 시스템의 흐름을 플로우 차트로 설명 |
목차 작성 | 문서 초반부에 상세하고 알아보기 쉽게 목차를 작성 |
역 기획서의 사용 예시
역 기획서는 다양한 게임 장르에 적용할 수 있으며, 각 장르별로 어떤 요소를 분석해야 하는지를 이해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RPG 게임의 경우, 스토리라인, 캐릭터 성장 시스템, 전투 시스템 등을 집중적으로 분석할 수 있습니다.
디펜스 게임의 경우, 맵 디자인, 유닛 배치, 적의 AI 패턴 등을 분석하는 것이 중요하며, 퍼즐 게임에서는 레벨 디자인과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주된 분석 요소가 될 수 있습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각 게임의 성공 요소를 파악하고, 이를 자신의 게임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을지를 고민하는 것입니다.
게임 장르 | 분석 요소 |
---|---|
RPG | 스토리라인, 캐릭터 성장, 전투 시스템 |
디펜스 | 맵 디자인, 유닛 배치, 적의 AI |
퍼즐 | 레벨 디자인, 사용자 인터페이스 |
결론
역 기획서는 게임 개발에 있어 중요한 도구입니다. 이미 성공적으로 시장에 출시된 게임의 구조를 분석함으로써, 자신이 원하는 게임을 기획하는 데 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역 기획서를 작성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것은 객관성을 유지하고, 자신의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다양한 요소를 분석하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게임 기획의 기초를 다지며, 앞으로의 게임 개발 여정을 더욱 풍부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이처럼 역 기획서를 활용하여 자신의 게임 기획 능력을 향상시키고, 더 나아가 성공적인 게임을 개발할 수 있는 기회를 잡아보시기 바랍니다.